2007년 07월 02일
Video Playback은 뭐하는 녀석?... Compiz Fusion Plugin
Compiz Fusion에 대해서는 이미 이 글에서 잠시 얘기 했었다. 이 Compiz Fusion의 Plugin 중에는 정확한 기능이 무엇인지 모른채로 쓰는 플러그인들이 몇개 있는데, 이번에 얘기할 Video Playback Plugin 역시 그 중 하나이다. 아래의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Video Playback plugin을 처음 봤을 때, 드디어 compiz과 Xv VideoOut(이후 vo)이 연동이 되는구나~ 하고 생각 했다. 바로 YV12(오버레이 가능)에 대한 옵션 때문이었다.
그래서 주말을 맞아서 하루종일 찾아봤다. 뭔가 계속 구글을 뒤지며 찾다보니 뭔가 실마리가 보일듯 했다. mplayer 패치도 발견했고, '성공했다. 잘된다.' 라는 글이 외국 포럼이나 메일링 리스트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근데 아무리 뒤져도 Ubuntu나 Debian용 패키지가 보일 것 같지는 않았다. 그래서 이왕 시작한거 패치파일을 받고, mplayer 소스 파일을 받아서 컴파일했다.
컴파일 도중에 libmp4v2-dev 패키지가 안 깔려있어서 에러를 한번 뿜었지만, 컴파일을 무사히 종료했다. 그런데 막상 mplayer를 -vo xv 옵션으로 실행하보니, 검은 화면에 소리만 나왔다. xserver-xorg도 패치해야 하나? 하면서, '젠장'을 외치며 이왕 시작한거 xserver-xorg 까지 깔아보자는 생각에 소스를 받고, 패치를 하려는 데 잘 안된다.
그러다나 문득 머리속을 스치며 지나간 것이 내가 쓰고 있는 해상도 환경이 16비트라는 사실을 떠올렸다. 24비트로 바꾸고 재진입해봤다. -vo xv 옵션으로 동영상을 실행해보았다. 된다. xv 재생이 compiz 과 연동이 된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1배 크기에선 아무 문제가 없지만 크기를 키우면 픽셀이 너무 도드라져 보였다. x11 옵션으로 재생할 때 보다 속도는 빨랐지만 품질은 떨어졌다. 픽셀이 도드라지는 문제는 Compiz 옵션에서 Texture Filter를 Good이나 Best로 지정해주면 해결된다.(07년 7월 8일 추가)
불행 중 다행인건, Compiz Fusion의 Video Playback 옵션을 끄면 다시 원래의 xv모드로 돌아가서 동영상을 볼 수가 있다. 그래서 적절히 Compiz의 옵션을 조절해가면서 쓸 생각이다. 평소에는 Video Playback 옵션을 키고 쓰고, 본격 감상 모드에 돌입해서는 끄고 쓸 생각이다. 반년만에 24비트 해상도로 복귀하는 셈이다. compiz이 Beryl보다 빨라진 만큼 Beryl을 쓸때보다 크게 속도에서 손해보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참고로, -vo xv가 -vo x11 보다 가지고 있는 장점이라면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함으로써 동영상 재생시 CPU 점유율을 적게 차지하고, 화면 밀림현상(?)이 덜하다는 것이다. 나는 노트북 유저다 보니 이런 CPU 점유율에 관한 문제에 좀 민감한 편이다. CPU 점유율이 높을수록 CPU 온도가 올라가고, 전체적인 노트북 팜프레스트나 키보드 위로 올라오는 열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우선 이 곳에서 이런 패치를 받는다. 그리고 mplayer 컴파일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mplayer의 컴파일 옵션은 여기를 참고했다.
마지막으로 패키징 한 파일을 첨부해 둔다. 파일 하나에 5MB가 한계라서 5개의 파일로 나누어서 첨부했다.
받아서 압축을 풀면 위의 4개의 파일이 나온다.

컴파일 도중에 libmp4v2-dev 패키지가 안 깔려있어서 에러를 한번 뿜었지만, 컴파일을 무사히 종료했다. 그런데 막상 mplayer를 -vo xv 옵션으로 실행하보니, 검은 화면에 소리만 나왔다. xserver-xorg도 패치해야 하나? 하면서, '젠장'을 외치며 이왕 시작한거 xserver-xorg 까지 깔아보자는 생각에 소스를 받고, 패치를 하려는 데 잘 안된다.
그러다나 문득 머리속을 스치며 지나간 것이 내가 쓰고 있는 해상도 환경이 16비트라는 사실을 떠올렸다. 24비트로 바꾸고 재진입해봤다. -vo xv 옵션으로 동영상을 실행해보았다. 된다. xv 재생이 compiz 과 연동이 된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1배 크기에선 아무 문제가 없지만 크기를 키우면 픽셀이 너무 도드라져 보였다. x11 옵션으로 재생할 때 보다 속도는 빨랐지만 품질은 떨어졌다. 픽셀이 도드라지는 문제는 Compiz 옵션에서 Texture Filter를 Good이나 Best로 지정해주면 해결된다.(07년 7월 8일 추가)
불행 중 다행인건, Compiz Fusion의 Video Playback 옵션을 끄면 다시 원래의 xv모드로 돌아가서 동영상을 볼 수가 있다. 그래서 적절히 Compiz의 옵션을 조절해가면서 쓸 생각이다. 평소에는 Video Playback 옵션을 키고 쓰고, 본격 감상 모드에 돌입해서는 끄고 쓸 생각이다. 반년만에 24비트 해상도로 복귀하는 셈이다. compiz이 Beryl보다 빨라진 만큼 Beryl을 쓸때보다 크게 속도에서 손해보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참고로, -vo xv가 -vo x11 보다 가지고 있는 장점이라면 하드웨어 가속을 지원함으로써 동영상 재생시 CPU 점유율을 적게 차지하고, 화면 밀림현상(?)이 덜하다는 것이다. 나는 노트북 유저다 보니 이런 CPU 점유율에 관한 문제에 좀 민감한 편이다. CPU 점유율이 높을수록 CPU 온도가 올라가고, 전체적인 노트북 팜프레스트나 키보드 위로 올라오는 열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이다.
우선 이 곳에서 이런 패치를 받는다. 그리고 mplayer 컴파일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sudo apt-get build-dep mplayer그리고 나서는 mplayer 소스를 받는다.
apt-get source mplayer그리고는 위에서 받은 패치 파일을 소스가 있는 디렉토리에 복사하거나 옮겨놓는다. 아마 mplayer-1.0~rc1 라는 디렉토리일 것이다. 파일을 복사했으면 패치를 적용한다.
patch -p 0 < mplayer-xv-compiz-video-1-0001.bin컴파일을 한다. 아래의 명령을 그대로 넣으면 자동으로 컴파일 후 deb 패키지를 만들어 준다.
mplayer의 컴파일 옵션은 여기를 참고했다.
DEB_BUILD_OPTIONS="--enable-gui --enable-largefiles --enable-menu --enable-fribidi --prefix=/usr --confdir=/etc/mplayer --mandir=/usr/share/man --language=ko" fakeroot debian/rules binary정상적으로 컴파일이 완료되었으면 다음의 4개의 파일이 생긴다.
mencoder_1.0~rc1-0ubuntu9.1_i386.deb설치를 해주면 된다.
mplayer-doc_1.0~rc1-0ubuntu9.1_all.deb
mplayer-nogui_1.0~rc1-0ubuntu9.1_i386.deb
mplayer_1.0~rc1-0ubuntu9.1_i386.deb
sudo dpkg -i *.deb혹시나 중간에 의존성 에러가 나면, 해당하는 패키지를 설치해 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패키징 한 파일을 첨부해 둔다. 파일 하나에 5MB가 한계라서 5개의 파일로 나누어서 첨부했다.
받아서 압축을 풀면 위의 4개의 파일이 나온다.
# by | 2007/07/02 05:24 | :: C space :: 컴퓨터 | 트랙백 | 핑백(2) | 덧글(1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 이 글에서 MPlayer의 vo xv와 연동하기 위해서 새롭게 추가된 Video Playback Plugin을 소개 하면서 이 플러그인이 16bit환경에서 동작하지 않아서, 반년만 ... more
... mplayer, mplayer-nogui, mplayer-doc 4개의 패키지가 나온다. 혹시나 직접 컴파일해서 패키징 하실 분들은 이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참고자료 [패치] mplayer 20070927 용 Xv 출력 패치 ... more
Gentoo에 너무 시달려서 훠훠~
Sakuragi옹 굇수님~
뭐 그렇게 화질을 따질만한걸 보진 않아서 :)
nidev, 그 투명창 기능을 xv에서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위의 mplayer 패치예요. :)
x11은 화질은 xv보다 더 낫기도 한데, 문제는 화면이 밀린다는 거죠. 프레임이 넘어가는게 눈에 보이는 느낌이랄까요? 그런게 있어요. 역동적인 장면이 많은 영상에서는 눈에 많이 거슬리죠.
아니면 beryl-manager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구요.
저도 근복적으로 xv 상태에서 모질라 플러그인 문제는 해결 방법을 찾지 못했네요.
16비트 환경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혹시나 16비트 환경을 쓰시게 된다면,
새로 포스팅한 MPlayer를 쓰시면 됩니다.
dpkg: mplayer-nogui을(를) 처리하는 데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install):
mplayer-nogui 꾸러미는 설정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설정할 수 없습니다. (현재 상태 : `config-files')
dpkg: mplayer을(를) 처리하는 데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install):
mplayer 꾸러미는 설정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설정할 수 없습니다. (현재 상태 : `config-files')
처리하는 데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mencoder
mplayer-nogui
mplayer
이런 메시지가 뜨더군요... 의존성은 해결했는데 conf는 어떻게 하죠?
글구 이거 설치하면 mozilla-mplayer와도 연동이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mplayer_1.0~rc1-0ubuntu12+compiz_xv_video_16bit_i386.deb 만 설치하시면 오류가 나지 않을 껍니다.
그리고 아쉽게도 mozilla-mplayer와는 연동되지 않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