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02월 28일
맥에는 Dashboard, Linux의 Beryl에는... Widget Layer
베릴(Beryl)에 관해서는 그다지 포스팅을 하지 않는데, 내 나름대로 오늘 재미있는 발견을 하기도 했고, 아직 국내 웹사이트에서 이 Beryl의 Widget Layer에 관한 글을 본 적이 없어서 포스팅을 한다. 맥을 쓰는 사람이라면 익히 잘 알고 있는 것이 대쉬보드(Dashboard)일 것이다.
옆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반 작업 환경위에 또 다른 한장의 환경, 즉 Widget만을 위한 Layer가 존재하고, 그 Layer에서 Widget을 이용하는 것이다. Dashboard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얘기를 하기 전에 잠깐! Linux Desktop 유저들에게서 있어 XGL, AIGLX상에서 돌아가는 Compiz과 Beryl의 출현은 Novell 그 데모 시연 비디오가 세상의 빛을 보기 시작한지 일년이 되어가는 지금, 이 순간에도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사실 그동안 MAC의 인터페이스는 모든 PC 사용자에게 선망의 대상이였다. 재미있는 일이다. OS에서 실행되는 특정한 프로그램이 아닌, 이쁜(화려한) 인터페이스가 선망의 대상이였으니 말이다. 그렇게 선망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많은 PC 유저들이 인터페이스 하나 때문에 MAC을 쓸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PowerPC칩이 아닌 Intel칩을 쓴 MAC BOOK의 출현으로 예전에 비하면 그 선망의 정도가 많이 사그라들었을 지도 모른다.(Windows가 설치되니까, MAC에선 오로지 MAC OS라는 부담이 덜하니까 라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게다가 Windows Vista의 Aero 인터페이스의 출현으로 Windows의 유저들도 기본적으로 화려한 인터페이스를 사용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점점 MAC OS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망의 정도는 사그라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뭐 이제 MAC과 Windows의 얘기는 이쯤에서 그만하자. 너무 잡론이 길었다.
Windows나 MAC이 어떻게 되었던 간에 Linux 진영(?)에서는 XGL(AIGLX)가 나왔고, 그위에서 돌아가는 Window Manager인, 심플한 Compiz과 다양한 기능의 Beryl이 아주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창이 출렁거린다거나 ,3D 큐브가 돌아간다거나 하는 것은 이제는 식상한 것일지도 모른다.
Beryl은 Linux와 OpenSource의 잠재력을 보여주기라도 하듯이, 아주 많은 개발자들이 각종의 플러그인들을 개발하여 내놓고 있다. Vista Aero의 3D 창전환자가 있다고 하면 Beryl에는 아래과 같은 Ring Window Switcher가 있다. 이런 기능들이 어느새인지 모르게 속속 추가되고 있다.
그 중에 최근에 추가된 플러그인 중에 하나가 바로 MAC의 Dashboard와 유사한 Widget Layer이다. 최초에는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프로그램을 Widget으로 써야 하는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헤매고 있었다. 기존에 Widget으로 쓰던 adesklets 나 gdesklets는 Widget Layer에 붙질 않았다. 그러던 중 찾은 것은 바로 Screenlets 이다. 이 Screenlets를 발견하고 관련된 스레드를 훑어 보던 중 Beryl에 Widget Layer Plugin이 들어가게 된 이유가 바로 이 Screenlets 때문이 아닐까라고 짐작하게 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이 Screenlets의 경우 Widget Layer 설정이 기본인 상태에서도 Widget Layer에 자동으로 붙기 때문이다. 오히려 Widget Layer 설정(Advanced)에 screenlets를 추가시켜주면 사소한 문제가 생긴다. 자~ 백문이 불여일견 우선 스크린샷을 먼저 보자.
이런 느낌이다. 제일 위에 있던 MAC의 Dashboard의 느낌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패키지의 설명에서도 다음과 같이 '대쉬보드와 야후 위젯과 비슷한(닮은) 데스크탑 프로그램(Desktop applications like Dashboard or Yahoo Widgets)'이다 라고 적어 놓고 있다. 스크린샷만으로는 좀 부족할까 싶어서 어제 새벽 포스팅 중 이글루스가 점검에 들어가버리는 바람에 홧김에(?) 찍은 동영상도 첨부한다.

이 얘기를 하기 전에 잠깐! Linux Desktop 유저들에게서 있어 XGL, AIGLX상에서 돌아가는 Compiz과 Beryl의 출현은 Novell 그 데모 시연 비디오가 세상의 빛을 보기 시작한지 일년이 되어가는 지금, 이 순간에도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고 그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사실 그동안 MAC의 인터페이스는 모든 PC 사용자에게 선망의 대상이였다. 재미있는 일이다. OS에서 실행되는 특정한 프로그램이 아닌, 이쁜(화려한) 인터페이스가 선망의 대상이였으니 말이다. 그렇게 선망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는 많은 PC 유저들이 인터페이스 하나 때문에 MAC을 쓸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PowerPC칩이 아닌 Intel칩을 쓴 MAC BOOK의 출현으로 예전에 비하면 그 선망의 정도가 많이 사그라들었을 지도 모른다.(Windows가 설치되니까, MAC에선 오로지 MAC OS라는 부담이 덜하니까 라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게다가 Windows Vista의 Aero 인터페이스의 출현으로 Windows의 유저들도 기본적으로 화려한 인터페이스를 사용 할 수 있게 되었으니, 점점 MAC OS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망의 정도는 사그라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뭐 이제 MAC과 Windows의 얘기는 이쯤에서 그만하자. 너무 잡론이 길었다.
Windows나 MAC이 어떻게 되었던 간에 Linux 진영(?)에서는 XGL(AIGLX)가 나왔고, 그위에서 돌아가는 Window Manager인, 심플한 Compiz과 다양한 기능의 Beryl이 아주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편리함을 제공해주고 있다. 창이 출렁거린다거나 ,3D 큐브가 돌아간다거나 하는 것은 이제는 식상한 것일지도 모른다.
Beryl은 Linux와 OpenSource의 잠재력을 보여주기라도 하듯이, 아주 많은 개발자들이 각종의 플러그인들을 개발하여 내놓고 있다. Vista Aero의 3D 창전환자가 있다고 하면 Beryl에는 아래과 같은 Ring Window Switcher가 있다. 이런 기능들이 어느새인지 모르게 속속 추가되고 있다.


# by | 2007/02/28 21:35 | :: C space :: 컴퓨터 | 트랙백(3) | 핑백(3) | 덧글(21)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제목 : 맥에는 DashBoard, Linux의 Beryl에..
맥의 DashBoard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Linux Beryl에서 동작하는 Widget Layer...more
제목 : Beryl의 Widget... Screenlets
아침에 늦잠자서 밍기적거리다가 컴퓨터를 켜니... 맥에는 Dashboard, Linux의 Beryl에는... Widget Layer 라는 Sakuragi님의 포스트가 눈에 띄었다. 최근에 팀내에 Mac과 Vista 열풍에 고전을 면치못한 나였기 때문에, 당연히 관심이 갈 수 밖에 없었다. Screenlets의 설명 및 설치 방법은 Sakuragi님의 포스트에 잘 나와있다. 여기서는 Kubuntu 기반일 경우 2가지 오류에 대해 간단히 해결 방법......more
제목 : [Package] Screenlets (Widget)
Sakuragi님의 Blog에서 알게된 Widget Program으로 Beryl의 Widget Layer 기능과함께 쓰면 아주 잘 어울리는 Program입니다.하지만 저는 처음 설치해서 사용할때는 문제가 있었기에 사용을 못하고 있다가몇일전에 한번 더 설치해보고 안되면 포기하자 했는데 이번에는 잘 작동을 하더군요 ~_~아마도 처음 설치할때 screenlets만 설치해서 발생했었던듯 싶습니다. ~_~뭐 이제는 잘 작동하니 됐구나 싶어서 자세한 원인......more
... enlets - 이 파일의 압축을 풀면 패키지가 나온다. 한국에서는 screenlets 관련 패키지 저장소로 접근이 안된다.(shiva님께서 제공하신 정보). 이 글을 참고. totem(Gstreamer) 관련 패키지 - 관련 정보는 여기를 참고. unzip - 소스 리스트에 있는 alee님 저장소에 있는 패키지이지만 이 ... more
... ;그래서 인터넷을 기웃거리다가 찾은 것이 바로 Avant Window Navigator(이후 AWN이라 부르겠음)이다. 아주 특출난 것은 없다. Widget Layer 관련 포스팅과 recordMyDesktop관련 포스팅에 있는 동영상에 찍혀 있는 것이 바로 AWN이다. 기본적인 것은 다른 Icon Dock과 마찬가지로 I ... more
... 내의 Flash 8기반의 서비스보다 안정성이 높다고 느껴서이다.(물론 리눅스에서의 이야기이다.) 보이는 바와 같이, 이전의 포스팅했던 Widget Layer의 동영상에 비해서 Frame Rate가 높고, Sound도 녹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마 앞으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캡쳐보다 recordM ... more
역시 디자이너의 크레이티브는 돈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지 않나 싶어요..;
언제 부턴가 아..ㅜ_ㅜ 위젯을 직접 만들수 있으면 좋겠네요 ^^
LinDol, 빨리 Beryl-svn 버전 설치하셔서 위젯을 직접 만들어 주세요 :O
아주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제 놋북에서는 아직 screenlets가 소소한 문제가 있어서 사용못한다는게 아쉽네요 ㅡㅜ
왜 하얗게 나오는지 ㅜ_ㅜ
LinDol, 힘내세요~ :)
이상하게도 메인컴퓨터에서는 NVidia 드라이버가 좀 이상해서 잘 활용은 안하고 있습니다 ㅜㅜ
해상도가 제대로 안나오니 베릴 돌려도 별로 흥도 안나고..
드라이버 개선되면 해봐야겠네요
쓴다고 고생하셨습니다~
베리얼0.2 rc1버젼인데요... 데스크에서 Widget Layer이 안나오네요..
버젼업이나.. 임포트 시키는 방법좀 부탁해요.. 처음부터 막히네요..
rc3버젼으로 업하는 방법이라도..
슈퍼유저, 버전업은 Beryl-svn 버전을 쓰시면 되요. :)
http://sakuragis.egloos.com/3143328 이 글에 소스 리스트 풀 버전은 올려놨구요.
다음 저장소를 추가해주면 Beryl-svn이 사용 가능 합니다. 하지만 svn버전은 말 그대로 매우 불안정하니, 문제가 생길 소지가 기존의 rc1 버전보다 커지겠지요 :)
--- 아래 저장소를 /etc/apt/sources.list 에 추가 ---
## Treviño’s Ubuntu edgy Repository (GPG key: 81836EBF - DD800CD9)
## Beryl-svn Repo.
## wget http://3v1n0.tuxfamily.org/DD800CD9.gpg -O- | sudo apt-key add -
deb http://download.tuxfamily.org/3v1deb edgy beryl-svn
deb-src http://download.tuxfamily.org/3v1deb edgy beryl-svn
최근에 Aero를 흉내내는 여러 팩들을 깔아봤는데,
제컴에서는 역시 Xgl + Beryl 밖에 없더군요 -_-;
스크린샷 잘 보고 갑니다!
위 사이트에서 도시를 검색하면 URL에 지역 코드(Zip Code)가 나오게 됩니다. 서울의 경우 검색하면 아래의 URL이 되는데, KSXX0037이 서울의 지역코드(Zip Code)가 됩니다.
http://www.weather.com/outlook/travel/businesstraveler/local/KSXX0037?from=search_city
Screenletsd v0.0.1 | (c) RYX (Rico Pfaus) 2007 | released under the GPL
add-screenlet-utility | (c) RYX (Rico Pfaus) 2007 | released under GPL
No handlers could be found for logger "dbus.proxies"
Error: Screenlets-Backend (screenletsd) not found.
add control 하면 자꾸 위와같은 에러가 나오는데 이유가 뭘까요? -_-
에러를 내고 나서그런지 widget layer에는 아무것도 안나옵니다.
add control 이라는 명령어도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네요. ^^
beryl 0.3.0 + screenlet 0.7.5 라고 나오는군요.
add control 은 본 내용에 적혀 있는 대로 Control Widget을 추가시키는 명령입니다.
그리고 Screenlets에 Control Widget 을 추가하는 작업이 실패했으니, Widget Layer에는 아무것도 안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screenlet 에 대해서 좀더 공부해 봐야겠군요.
근데 screenletsd 라고 명령어를 넣는 이유는 뭔가요?
암튼 답변 감사합니다.
screenletsd start 하면 screenlets 데몬이 시작되고, screenletsd add control 하면 컨트롤 위젯이 추가가 되는 식이죠. :D
http://forum.beryl-project.org/download.php?id=830&f=38
사이트.
http://forum.beryl-project.org/viewtopic.php?f=38&t=1342&start=290